강북지방 기독교 독립운동 사적지 ④ 민족대표 33인 이명룡 선생 묘역
|
이명룡(1873.08.02~1956.11.12) 선생은 평안북도 철산 출생이다. 한학을 배우고 1892년 그리스도교에 입교, 신앙생활과 육영사업에 힘썼다. 1902년 정주군(定州郡) 상업회의소 소장이 되어 동양척식주식회사의 한인토지수매를 적극 반대하였다.
그는 기독교사상으로 학교를 세우는 등 교육사업을 벌이다가, 1911년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복역하였다. 이후 최남선과 이승훈의 권유를 받고 3·1 운동에 장로교 대표 민족대표 33인으로 참가했으며, 이로 인해 또다시 일제에 의해 징역 2년 형을 선고 받고 복역하였다.
광복 후에는 조만식과 조선민주당을 창당하고 고문에 추대되었으며, 교육사업에도 힘을 기울여, 김양선 목사가 정주에 세운 평동중학교 설립에도 참여하였다. 그러나 둘째 아들 이경선이 반공주의 운동을 벌이던 중 소련군정에 체포되어 실종되는 등 이북에서 종교인에 대한 탄압이 계속되자, 1947년 월남하였다.
1955년 3.1정신선양회 고문, 이준열사(李儁烈士)기념사업회 고문, 1956년에 안중근의사기념사업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사적 위치 : 강북지방 아카데미 하우스 아래 통일교육원 (서울 강북구 수유동 535-353) 경내에 위치한다.
서울문화원 박은석 기자